글/독서기 4

[독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정치, 사회, 윤리 파트 독후감)

[2주차]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전자책 373p/373p) (정치, 사회, 윤리 파트) 느낀점, 생각 역사와 경제로 이 책을 아우르는 개념을 배운 후에 정치에 대해 읽으니 제일 흥미로웠다. 정치에 대해 굉장히 많이 배우고 생각하게 만들었다. 평소 궁금했던 점들이 해소가 되기도 했고 한 단계 발전된 의문점과 생각을 갖게 되었다. 보수와 진보의 개념을 경제로부터 이어져 오는 개념으로 이해를 하니 현재 우리나라의 정치에 대해 궁금했다. 한국은 보수건 진보이건 뭐가 되든 자본가와 기업의 이익이 대변되는 자본주의 사회이고, 복지 수준이 낮고 빈부격차가 심화된 국가일 수밖에 없다는데 그렇다면 왜 보수 성향의 사람들이 1:1을 다툴 만큼 클까?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미디어의 영향이 크다는 것을 알았..

글/독서기 2022.09.11

[독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정치, 사회, 윤리 파트 내용 정리)

[2주차]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전자책 373p/373p) (정치, 사회, 윤리 파트) 정치 자본가와 노동자 중 이익을 보는 집단과 손해를 감수해야 하는 집단이 발생한다. 정치는 이 대립하는 두 집단 중 누구의 이익을 우선할지를 선택하는 문제이다. (어떤 경제체제를 선택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라고도 할 수 있다.) 자본가와 노동자의 이익이 충돌한다면 자본가의 이익을 우선으로 보호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치적 견해를 보수라 한다. (초기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 시장의 자유 중시, 정부 개입 거부 → 세금 인하, 규제 완화 → 자본가와 기업에 이익 → 투자, 노동 의욕 증가 → 경제 성장) 반면 노동자의 이익을 우선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정치적 견해는 진보라고 한다. (후기 자본주의, 사회민주..

글/독서기 2022.09.11

[독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역사, 경제 파트 독후감)

[1주차]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전자책 182p/373p) (역사, 경제 파트) 느낀점, 생각 역사를 움직이는 것이 경제이고 그에 따라서 서술한 점이 매우 흥미로웠다. 역사를 역사만으로 설명할 때 보다도 역사의 흐름의 이해가 잘 되고 기억에 남았다. 생산수단의 개념이 많은 현상의 중요 요인이다. 생산수단이 생김에 따라 시대가 변하고 계급이 생긴다. 권력이 생기고 자본주의가 생긴다. 자본주의의 가장 큰 특징인 공급과잉이 또 여러 현상을 만든다. 식민지 시대인 제국주의 시대를 만들고 자본주의와 공산주의가 근본적으로 공존할 수 없게 한다. 과거 공급과잉을 해소하기 위해 시장 개척을 해야 했고 그래서 강대국들의 식민지 전쟁이 시작되었다. 그리고 공급과잉을 일시적으로 해소하기 위해 대량학살이 일..

글/독서기 2022.09.05

[독서]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역사, 경제 파트 내용 정리)

[1주차] 지적 대화를 위한 넓고 얕은 지식 1 (전자책 182p/373p) (역사, 경제 파트) 역사 시간은 직선적 시간관, 원형적 시간관으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 진보적 역사관, 순환적 역사관이라는 사관으로 발전했다. 둘 중 역사가 발전해간다는 관점인 진보적 역사관에 따라 역사를 설명한다 진보적 역사관에 따라 원시 공산사회, 고대 노예제사회, 중세 봉건제사회, 근대 자본주의, 현대로 구분하고, 원시/고대/중세/근대와 근대/현대로 살펴본다. 원시부터 근대까지의 역사는 생산수단을 중심으로 변화했다. 생산수단을 소유한 사람이 부를 갖고, 더불어 권력을 가졌다. 원시 사회는 생산수단이 없어서 평등했다. 고대에는 토지와 영토가 생산수단이었고, 왕이 소유했다. 중세에는 장원이 생산수단이었고, 왕과 영주가 소유했..

글/독서기 2022.09.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