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 3

[DB Programming] JSP Standard Tag Library (JSTL)

JSTL 개요 Custom Tag JSP에서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프로그램 로직을 캡슐화하여 태그 형태로 정의한 것 JSP 페이지에서 scriptlet (java code)을 대체하기 위해 사용 - JSP에서 바로 Java 코드를 작성하는 건 안 좋음 JSP Standard Tag Library (JSTL) JSP와 함께 Java EE Platform에 포함됨 JSP 개발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유용한 custom tag들을 정의 MVC 구조에서 collection과 같이 여러 원소들을 포함하는 데이터를 처리할 때 특히 유용 Expression Language (EL)와 함께 사용 설치 Maven repository에서 JSTL API 및 구현체 library를 직접 download jstl-1.2.jar..

[DB Programming] MVC Architecture - model 1/model 2/Model/Controller/View

Web Application의 구조 model1, 2가 있는데 model2가 MVC 구조이다. 1. model 1 JSP page에서 presentation logic, business logic, 입출력 데이터 처리, 실행 흐름 제어 등을 모두 구현 작은 규모, 짧은 기간의 프로젝트 수행 시 사용 가능 복잡하고 변경이 많은 application의 경우 부적합(개발, 유지보수, 재활용이 어려움) Web container에서 하는 작업을 JSP로 다 하는 것인데 별로 바람직하지 않다. model 1은 Model이 없는데, 복잡한 기능 구현 시 Model을 정의해서 사용한다. 후에 MVC에서 그대로 활용한다. model 1(JSP) + Model의 형태이다. -> 결론은 model 1은 사용하지 않는다. 2..

[DB Programming] HTTP, Servlet, JSP, response/request/pageContext 객체, page/include 지시자, include/forward Action Tags, JavaBeans

HTTP Request Handling Web Client가 HTTP Request를 보내면, Web Server & Container에서 작업을 한다. Web Server & Container에서는 HttpServletRequest 내장객체를 자동으로 생성하고 저장한다. Web Components -> JavaBeans Components -> DB Web Components -> DB 위 2줄의 작업 후에 HttpServletResponse 객체를 생성해 HTTP Response를 Web Client로 보낸다. Container란 어떤 환경에서나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패키지이다. Web Components란 Servlets나 JSP pages를 말한다. 개발자가 직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