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당 카테고리에는 웹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 스스로 개발을 해봐야 비로소 알게 된다는 말이 뭔지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니 지적과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html 태그들은 2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다.
1. block element: 내용 크기에 상관없이 한 줄을 차지한다. p, div, ul, li, h1-h6
2. inline element: 내용 크기만큼 영역을 차지한다. span, a, img, button
태그가 block인지 inline인지 중요한 이유는 css로 크기를 조절할 때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css 기본 속성들 중 width, height 속성은 block element에만 적용되고 inline element에는 적용하지 못한다.
아무 변화가 안 생긴다. 하지만 전 포스팅에서도 언급했듯이 스타일을 이유로 태그를 골라 쓰면 안되고, 의미와 구조에 맞게 태그를 쓴 후 css로 스타일을 변경해야 한다. 태그들이 아무리 고유한 특성을 갖고 있더라도 css에서 고유한 특성까지 변경할 수 있다.
inline element를 block element처럼 사용하고 싶거나, block element를 inline element로 사용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css 속성이 display다. display 속성 값은 inline, block, inline-block, none이 있다.
- inline: p태그가 내용 크기만큼 영역을 차지한다.
p {
display : inline;
}
- block: span태그가 하나의 블록, 한 줄을 차지한다.
span {
display : block;
}
- inline-block: 한 줄에 여러 element들이 올 수 있고, 내용 크기만큼 차지해서 width, height 속성이 적용되도록 할 수도 있다.
p {
display : inline-block;
}
- none: 해당 태그가 안 보이게 한다. 차지하는 영역도 사라진다.
'FrontEnd > Web'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b] #6 CSS - user agent stylesheet, reset css (0) | 2022.07.19 |
---|---|
[Web] #5 CSS - 단위 px, em, rem, %, vh, vw (0) | 2022.07.19 |
[Web] #4 CSS - box model, box-sizing (0) | 2022.07.19 |
[Web] #2 CSS - 선택자 (0) | 2022.07.18 |
[Web] #1 HTML (0) | 2022.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