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ontEnd/Web

[Web] #6 CSS - user agent stylesheet, reset css

하노정 2022. 7. 19. 16:44

해당 카테고리에는 웹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정리하겠습니다. 스스로 개발을 해봐야 비로소 알게 된다는 말이 뭔지 몸소 느끼고 있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니 지적과 피드백은 언제나 환영입니다. 


p, span 태그에 동일하게 display 속성에 block값을 주었을 때 결과에 차이가 있다.

p는 위 아래로 margin이 있는데, span은 없다. 

 

그 이유는 브라우저의 기본 스타일링 때문이다. 각 브라우저마다 태그에 대한 기본 스타일링(css 속성과 값)이 있다.

이것이 user agent stylesheet다. 개발자 도구에서 브라우저 태그에 대한 기본 스타일링을 확인할 수 있다.

위에 설정한 값을 보면 p 태그에는 user agent stylesheet가 있는데, span 태그에는 없는 것을 볼 수 있다.


각 브라우저마다 태그에 대한 기본 스타일링이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웹페이지를 여러 브라우저에서 같은 스타일링으로 보여주고 싶을 때는 각 브라우저마다 적용되어 있는 기본 스타일링을 모두 초기화하는 작업을 해야한다.

이 작업을 해주는 코드가 있다. reset css.

https://meyerweb.com/eric/tools/css/reset/

 

CSS Tools: Reset CSS

CSS Tools: Reset CSS The goal of a reset stylesheet is to reduce browser inconsistencies in things like default line heights, margins and font sizes of headings, and so on. The general reasoning behind this was discussed in a May 2007 post, if you're inter

meyerweb.com

위 코드를 css 맨 위에 붙여주면, 브라우저마다 적용되어 있는 기본 스타일링을 모두 초기화 해주는 것은 아니지만 대부분 초기화 한다고 보면 된다. 

 

위 코드는 주로 태그마다 margin, padding 값을 죽여주기 위해 사용하기 때문에 reset css를 사용하지 않고

* 선택자로 초기화 할 수도 있다. 

* {
	margin : 0;
	padding : 0;
	box-sizing : border-box;
}

span {
	display : inline-block;
}

위 코드를 쓰면, 태그와 태그 사이에 공백이 생기는데 어떻게 조절할 수가 없다. 

 

따라서 display 속성 값으로 inline, inline-block을 사용하지 않고

flex 속성을 많이 사용해서 웹 페이지의 레이아웃을 구성한다.

 

flex는 중요하다 ! 다음 포스팅에서 :)